소방설비기사 산업기사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소방설비기사 및 산업기사 자격에 대한 내용과 두 자격증의 차이 그리고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려 합니다. 더불어 2021년도 시허일정도 함께 확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소방설비기사 및 산업기사에 대해서 알아보기 이전에 우리나라에 자격증 나누어져있는 국가기술자격 등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하위개념이 기능사입니다. 기능사를 시작으로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이렇게 총 5등급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시험마다 자격기준이 있으며 특히 기능장과 기술사는 매우 어렵고 경력도 요구되는 전문직급의 시험입니다.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면 경비업체 또는 소방시설공사 등 소방관련 업무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에 대한 시공 및 관리와 점검, 정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화기의 사용 및 취급에 관한 방화안전관리 감독 업무와 소방계획에 따른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증 입니다. 한마디로 소방에 관한 모든 업무에 기초가 되는 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방설비기사와 산업기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산업기사는 1999년 3월 국가기술자격법의 개정으로 생겨난 대한민국 국가기술자격 체계로 기능사와 달리 자격요건이 있습니다. 기능사이상의 자격과 1년이상의 실무 또는 동일분야 자격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이 있거나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졸업자, 예정자 또는 4~5년제 관련학과 전과정의 절반 이상 수료자. 마지막으로 해당분야에 실무경력 2년 이상의 자격이 있어야지만 소방설비산업기사 시험에 응시 할 수 있습니다. 기사는 산업기사와 다르게 1973년 12월에 재정된 국가기술자격으로 산업기사보다 높은 등급의 자격체계 입니다. 그러므로 지원요건이 더욱 까다롭습니다. 기사의 지원요건을 확인해보겠습니다.
1. 산업기사(타 자격 포함) 이상의 자격 및 실무경험 1년이상.
2. 기능사(타 자격 포함) 및 실무경험 3년 이상.
3. 동일한 분야의 기사 자격 이상.
4. 3년제 대학 관련학과 졸업자 및 실무경험 1년이상.
5. 4~5년제 대학 관련학과 전과정의 절반이상 수료자 및 실무경력 2년 이상.
6. 2년제 대학 관련학과 졸업자 및 실무경험 2년 이상.
7. 소방설비관련 실무경력 4년 이상.
8. 4년제 또는 5년제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매우 까다로운 조건인 만큼 전문직업인으로서 소방설비관련 업무를 할 수 있는 자격입니다.
점점 대형화 전문화 되어 가는 건축물 및 시설물로 인하여 소방대상물은 늘어나고 고층화되며 심층화 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수요와 업무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방에서도 전문분야가 나뉘는 시점인 만큼 지금 관심을 두고 취득하신다면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소방설비산업기사 및 기사는 기계분야와 전기분야로 구분되어지고 있습니다. 보통 건물소방시스템인 소화기, 스프링쿨러, 할론소화설비 등 주로 설비쪽 분야인 기계와 비상경보설비, 전기화재경보기등 관련 전기계통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구분 | 필기 시험접수 | 필기시험 | 발표일 | 실기시험접수 | 실기시험 | 최종합격발표. | |
기사 | 1회 | 01.25~28 | 03.07 | 03.19 | 03.31~04.05 | 04.24~05.07 | 06.02 |
산업기사 | 01.26~01.29 | 03.02~03.12 | 04.01~04.06 | ||||
기사 | 2회 | 04.12~04.15 | 05.15 | 06.02 | 06.14~06.17 | 07.10~07.23 | 08.20 |
산업기사 | 04.13~04.16 | 05.09~05.19 | 06.15~06.18 | ||||
기사 | 4회 | 08.16~08.19 | 09.12 | 10.06 | 10.18~10.21 | 11.12~11.26 | 12.24 |
산업기사 | 08.17~08.20 | 09.05~09.15 | 10.19~10.22 |
댓글 영역